보디빌딩대회 포징의 종류
보디빌딩의 포징(Posing)
안녕하세요. 짧은근육_ShortMuscle입니다. 저는 현재 취미로 보디빌딩식 웨이트트레이닝을 하지만 취미에 깊게 심취하여 기회가 된다면 보디빌딩대회 등에 참가를 할 생각과 계획을 준비하려고 하는데요. 하지만 말씀드린 것 처럼, 저는 전문적인 것이 아닌 취미로 운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보디빌딩대회에서 전문 선수들이 취하는 포즈, 즉 포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해보게 되었습니다.
보디빌딩 대회에서 포징(포즈)은 선수의 근육을 최대한 돋보이게 하고, 몸의 비율과 선을 강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포징은 심사위원과 관객에게 선수의 신체적 특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므로, 각 포즈에 대한 이해와 연습이 필요합니다.
보디빌딩대회의 대표적인 포징, 포즈 종류
1. 프론트 더블 바이셉스 (Front Double Biceps)
- 설명: 선수는 정면을 향해 서서 두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고 이두근을 강조합니다. 이 포즈는 상체의 전체적인 근육량을 잘 드러내며, 특히 이두근과 가슴, 어깨의 조화를 보여줍니다.
- 강조하는 부분: 이두근, 가슴, 어깨, 복근.
2. 프론트 랫 스프레드 (Front Lat Spread)
- 설명: 팔을 옆으로 넓게 펼쳐 광배근을 강조하는 포즈입니다. 이 포즈는 상체의 넓이를 강조하고, 선수의 전체적인 체형을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 강조하는 부분: 광배근, 어깨, 가슴의 폭.
3. 사이드 체스트 (Side Chest)
- 설명: 옆으로 서서 팔을 몸에 붙이고 가슴을 앞으로 내미는 포즈입니다. 이 포즈는 가슴 근육과 팔의 볼륨을 강조하며, 몸의 측면 라인을 잘 보여줍니다.
- 강조하는 부분: 가슴, 삼두근, 어깨.
4. 사이드 트라이셉스 (Side Triceps)
- 설명: 옆으로 서서 팔을 펴고 삼두근을 강조하는 포즈입니다. 이 포즈는 삼두근의 힘과 선명함을 부각시키며, 측면에서의 근육 균형을 보여줍니다.
- 강조하는 부분: 삼두근, 어깨, 복근.
5. 백 더블 바이셉스 (Back Double Biceps)
- 설명: 뒤쪽을 향해 서서 두 팔을 들어올리는 포즈입니다. 이 포즈는 등 근육과 팔의 힘을 강조하며, 특히 광배근과 등 근육의 발달을 잘 보여줍니다.
- 강조하는 부분: 등 근육, 이두근, 어깨.
6. 백 랫 스프레드 (Back Lat Spread)
- 설명: 뒤를 향해 서서 팔을 넓게 펼치는 포즈입니다. 이 포즈는 등 근육의 넓이와 두께를 강조하며, 선수의 전체적인 체형을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 강조하는 부분: 광배근, 등 근육의 폭.
7. 앱드미널 앤드 싸이 포즈 (Abdominal and Thigh Pose)
- 설명: 복근과 허벅지를 강조하는 포즈로, 복근의 선명함과 하체 근육의 발달을 잘 보여줍니다. 이 포즈는 특히 복근이 잘 발달한 선수에게 유리합니다.
- 강조하는 부분: 복근, 허벅지, 하체의 근육.
8. 클로징 포즈 (Closing Pose)
- 설명: 대회 마지막에 선보이는 포즈로, 전체적인 몸매와 근육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포즈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선수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 강조하는 부분: 전체적인 체형과 근육 발달.
9. 기타 포즈
- 스페셜 포즈: 각 선수는 자신만의 특별한 포즈를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성과 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상황에 따른 포즈: 대회마다 요구되는 포즈가 다를 수 있으며, 각 포즈는 심사위원의 기준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결론
오늘은 이렇게 보디빌딩 대회시 해야하는 대표적인 포즈, 포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포징은 단순한 자세가 아니라, 선수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관객과 심사위원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중요한 요소라고 합니다. 따라서 선수들은 각 포즈를 연습하고, 자신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해요. 포징이 잘 이루어질 경우, 심사위원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최종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