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

웨이트트레이닝 운동 중단 시, 근육 손실이 일어나는 기간은 언제부터일까?

by 짧은근육_ShortMuscle 2025. 5. 21.
반응형
웨이트트레이닝 중단 후 근육은 언제부터 사라질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운동인들이 궁금해하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바로 '웨이트트레이닝을 중단했을 때, 그동안 열심히 키운 근육이 언제부터 줄어들기 시작하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근육 손실(근감소)이 시작되는 시점

웨이트트레이닝을 중단하면 우리 몸은 즉각적으로 반응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눈에 보이는 근육 손실이 일어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립니다. 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 72시간(3일) 이후: 신경-근육 연결이 약화되기 시작합니다. 아직 물리적인 근육 손실은 거의 없지만, 근력의 미세한 감소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 1주일 이후: 근육 내 글리코겐(탄수화물 저장 형태)과 수분량이 감소하면서 근육 볼륨이 약간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는 실제 근섬유의 감소보다는 저장된 에너지와 수분의 감소가 주원인입니다.
  • 2-3주 이후: 실제 근육량(근단백질)의 감소가 시작되며, 웨이트트레이닝을 통해 얻은 근력의 약 5-10%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 1개월 이후: 눈에 띄는 근육량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특히 최근에 얻은 근육일수록 더 빨리 사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3개월 이후: 상당한 근육 손실이 일어날 수 있으며, 트레이닝으로 얻은 근육의 약 30-50%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근육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근육 손실의 속도는 개인마다 다르며,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1. 트레이닝 경력

  • 초보자: 운동 경력이 짧은 사람들은 근육이 더 빨리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경험자: 수년간 꾸준히 운동한 사람들은 근육 유지 기간이 더 길 수 있습니다.

2. 나이

  • 나이가 많을수록 근육 손실이 더 빠르게 진행됩니다. 30대 이후로는 근단백질 합성 능력이 점차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3. 식이 상태

  • 단백질 섭취: 운동을 중단하더라도 적절한 단백질을 계속 섭취하면 근육 손실을 상당 부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 칼로리 섭취: 과도한 칼로리 제한은 근육 손실을 가속화합니다.

4. 활동 수준

  • 완전히 비활동적인 상태(예: 입원)가 되면 근육 손실이 더 빨리 진행됩니다.
  • 일상적인 활동이나 가벼운 운동을 유지하면 근육 손실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5. 호르몬 상태

테스토스테론, 성장호르몬 등의 수준이 근육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근육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법

 

불가피하게 웨이트트레이닝을 중단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다음 전략들을 통해 근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1. 단백질 섭취 유지

  • 체중 1kg당 1.6-2.2g의 단백질을 섭취하면 근육 보존에 도움이 됩니다.
  • 특히 류신 함량이 높은 단백질(유청 단백질, 달걀, 육류 등)이 효과적입니다.

2. 가벼운 활동 유지

  • 완전한 비활동보다는 가벼운 운동(걷기, 스트레칭 등)이라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능하다면 주 1-2회라도 근력 운동을 하는 것이 근육 유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

3. 충분한 수면

  • 수면 부족은 코르티솔 수치를 높이고 근육 분해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 매일 7-9시간의 양질의 수면을 취하세요.

4. 스트레스 관리

  •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코르티솔 수치를 높여 근육 손실을 가속화합니다.
  • 명상, 심호흡, 취미 활동 등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세요.

다시 돌아왔을 때: 근육 기억(Muscle Memory)

다행스러운 소식은 한번 발달시킨 근육은 '근육 기억'이라는 현상 덕분에 재훈련 시 더 빠르게 회복된다는 점입니다. 이는 근육 세포의 핵(myonuclei)이 근육 크기가 줄어들더라도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이전에 웨이트트레이닝으로 얻은 근육의 약 70%는 재훈련 시 원래 훈련 기간의 1/3 정도의 시간 안에 회복될 수 있습니다.

결론

웨이트트레이닝을 중단하면 근육 손실은 불가피하지만, 그 속도와 정도는 개인의 상황과 대응 전략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체로 실질적인 근육 손실은 2-3주 후부터 시작되며, 약 1개월이 지나면 눈에 띄게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불가피하게 운동을 중단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적절한 영양 섭취와 최소한의 활동 유지를 통해 근육 손실을 최소화하고, 다시 운동을 시작할 수 있을 때 근육 기억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회복하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의 피트니스 여정에 잠시 휴식이 필요하더라도, 적절한 전략으로 그동안의 노력을 최대한 보존할 있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