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

헬스 웨이트트레이닝 운동에서 RPE는 무엇인가

by 짧은근육_ShortMuscle 2024. 8. 30.
반응형
헬스 웨이트트레이닝에서 RPE는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짧은근육_ShortMuscle 입니다. 여러분들은 혹시 RPE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우리가 헬스, 웨이트트레이닝을 하면 반복회수, 반복수가 매우 중요한데요. 보디빌딩식 웨이트트레이닝의 반복수는 일반적으로 6~12회 가능한 무게로 하라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이 기준은 사람의 근력과 정신력에 따라서 많이 달라질 수 있는데요.

 

RPE는 'Rate of Perceived Exertion'의 약자로, 운동 시 자각하는 운동강도를 의미합니다. 웨이트트레이닝에서 RPE는 매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RPE 점수는 어떠한 기준이 있나요?

 

일반적으로 RPE는 1-10점 척도로 표현되며,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운동강도를 평가합니다.

 

- 5.5점: 본세트라고 하기에는 너무 쉬운무게

- 6점: 웜업 정도 중량의 쉬운 무게

- 6.5점: 웜업 중량의 마지노선

- 7점: 1차 시기 세트를 할 때 처럼 속도가 꽤 빠른 경우

- 7.5점: 반복수를 대략 3개 정도 더 할 수 있는 강도

- 8점: 반복수를 2개 더 할 수 있는 강도

- 8.5점: 반복수를 대략 2개 가량 더 할 수 있는 강도

- 9점: 반복수 1개를 더 할 수 있는 강도

- 9.5점: 반복수를 대략 1개 정도 더 할 수 있는 강도

- 10점 : 최대의 노력, 실패지점

 

쉽게 정리하면,

RPE10 → 0개 더 할 수 있음(실패지점)

RPE 09 →1개 더 할 수 있음

RPE 08 →2개 더 할 수 있음

 

이렇게 평가하여 본인의 운동을 기록하면 됩니다.

RPE 데이터를 활용한 운동을 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운동 중 자신이 느끼는 운동강도를 RPE 척도에 맞추어 평가하면,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개인의 운동 능력 파악: RPE를 통해 자신의 운동 능력과 한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운동 강도 조절: RPE 지표를 활용하여 운동 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3. 운동 프로그램 설계: RPE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에게 맞춤화된 운동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4. 운동 효과 모니터링: RPE 변화를 통해 운동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결론

 

따라서 웨이트트레이닝에서 RPE 운동 강도 관리와 운동 효과 측정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절대적인 반복수 기준으로 중량을 정해서 운동하는 것이 아닌, 실제로 내가 수행할 있는 반복회수를 확인함으로써 근성장을 위한 올바른 중량설정을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반드시 측정과 기록을 하면서 진행하면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득근하는 하루되세요.

반응형